본문 바로가기

아마추어 무선

[아마추어 무선 입문 #1] 아마추어무선기사 자격증 취득 방법 & 해야할 일

이전 글 : [아마추어 무선 입문 #0] - 아마추어 무선이란?

 


오늘은 아마추어무선기사 자격증 취득과 취득 후 해야할 일에 관한 팁을 알려드겠습니다.

이전에 자격증 급수 종류에 관해 설명드렸었는데요, 입문자에 초점을 맞춰 3급 전화를 예시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자격증 취득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강습회(과목면제) 듣고 -> 전파법규만 응시

2. 3과목 (무선설비, 통신보안, 전파법규) 모두 응시

 

강습회를 듣는 분이시라면 전용 교재에 전파법규 문제가 있을테니 그걸로 연습하시면 되고 강습회 신청의 경우 연맹 홈페이지에 강습회 일정이 있습니다. 일정 확인 후 강습회 신청하시면 됩니다. 

연맹 링크 : https://www.karl.or.kr/

 

위 취득방법 중 2번 사례를 예시로 들어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시험원서접수 방법


일단 한국전파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검정 사이트에서 연간시험일정을 확인합니다.

연간시험일정 링크 : https://www.cq.or.kr/qh_quagm03_001.do

 

일정을 확인했다면 회원가입시험원서접수를 클릭합니다.

 

시험응시기간이 아니라 아무것도 없음 ㅠㅠ

 

그 이후 위 사진엔 없지만 아마추어무선기사 3급(전화급) 을 선택하고 지역과 시험장을 선택하면 됩니다.

 

선택하고 난 다음엔 개인정보와 사진, 면제과목 체크하는 란이 있을겁니다. 

사진의 경우엔 폰으로 얼굴 인식을 하는 게 아니라 파일 선택 목록이 뜰테니 가지고 계신 증명사진을 파일로 첨부해 올리시면 됩니다. 나중에 시험장에 도착시 본인인증을 위한 얼굴인식으로 사용됩니다.

강습회를 들으신 분은 면제과목 체크하시고 아니신 분은 그냥 시험료 결제하시면 됩니다.

 

신청하는 건 어렵지 않으니 짧게 글로 마무리 하고 시험장 분위기와 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런 전자노트... 전파공학 계산용인듯...

먼저 시험장에 들어가게 되면 키보드는 없고 마우스와 전자노트가 주어져 있습니다.

자기 수험번호에 맞는 자리에 앉으면 웹캠을 통해 안면인식으로 본인인증을 하면 시험 안내 사항이 나옵니다.

시간은 문제당 1분으로 3과목의 경우 50분이 주어지게 됩니다. (전파법규 20, 무선설비 20, 통신보안 10)

문제가 워낙 쉬워서 시간의 압박감은 크게 없었습니다. 재검토할 시간까지 있을 정도입니다.

저같은 경우 전자노트에 검토가 필요한 문제 번호를 적는 용도로 이용했습니다.

 

문제를 다 푸셨다면 답안 제출후 가체점 점수가 나옵니다.

평균 60점 이상 과락 40점이니 합격입니다 불합격입니다가 그자리에서 나옵니다.

이후 시험당일 오후 4시 or 5시부터 합격자조회가 가능해집니다.

마이페이지 -> 자격취득정보 에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이 자격번호가 뜨는데 이 번호가 여러분의 자격증 번호입니다.

자격번호 확인 방법.


지금부터는 시험관련 팁 몇가지를 적어보겠습니다.

 

1. 기출을 풀어라

CBT 시험으로 바뀌고 나서 탈기출화가 되었다고 하지만 저의 경험상 기출의 영향이 많았습니다. 특히 전파법규는 법에 한해서 출제되는거라 크게 바뀐점이 없었습니다. 특히 3급은 1급,2급보다 쉬우니 기출 뺑뺑이만 돌리면 무조건 합격입니다.

일단 인터넷에 있는 기출자료를 참고하시고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제가 참고했던 기출문제와 관련된 교재입니다.

 

3급 전화, 전신 기출 교재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amradio&no=2087

 

[추천] 3급(전신, 전화) 기출 문제 및 해설 정말 정리 잘 된 버전 - 아마추어 무선 마이너 갤러리

울산에 6K5*** 국장님의 아버지가 아들 시험 준비를 위해 작성한 자료.6년치 12회 분량의 기출 문제 및 문제에 대한 해설이 달림. 기존 기출문제 족보에서 답이 이상한 것들을 별도 조사를 통해 정

gall.dcinside.com

 

햄위키 기출문제 : https://hamwiki.kr/index.php?title=%EA%B8%B0%EC%B6%9C%EB%AC%B8%EC%A0%9C%EB%AA%A8%EC%9D%8C

 

기출문제모음 - HamWiki

 

hamwiki.kr

 

 

2. 어렵지 않으니 쫄지말 것

입문하시는 분들 중 종종하시는 말이 문제집이나 교재가 있냐고들 하십니다. 그럼 매번 말씀드리는 게 '그정도로 어렵지 않다' 라고 말합니다. 어떤 분은 3일만에 1급을 취득하신 분도 있고 하루만 공부하고도 딸 수 있는 게 아마추어 입니다.

공부를 안하고 따시는 분들도 종종 계십니다. 그만큼 기본 상식으로도 접근 가능한 수준의 문제라는겁니다.

 

물론 짧은 기간안에 모든 걸 다 알 순 없습니다. 일단 시험에서 주로 출제되는 것과 기본적인 무선지식을 배우고 자격증을 취득하고 실전에서 무전 경험을 하고 들으면서 무선에 대해 점점 알아가고 질문하며 배워가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자격증 취득 후 해야할 일


자격증을 취득하셨다면 실물 자격증을 발급하시고 무전기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무전기 구매자격증 없어도 가능하니 미리 구매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UV-K5. (2만원 미만 가성비 제품)

입문용 무전기로는 많은 무전기가 있습니다. UV-K5나 MYT-9800 등등... 개인적으로 UV-K5 같은 핸디를 먼저 구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일단 저가 제품을 먼저 만져보고 그다음 중저가, 고가를 다루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에

입문한 뉴비에게 고가에 제품을 권하고 다루는 건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적합성 평가를 받은 제품은 20만원을 넘는 가격으로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어 차라리 해외제품을 구매하고 준공검사 받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UV-K5를 구매하시게 된다면 프로그래밍 케이블이 반드시 필요하니,

'UV-K5 cable' 이라고 검색하셔서 프로그래밍 케이블도 추가로 구매하셔야 합니다.

(다음 글에 주파수 묶는 강좌도 올려드리겠습니다.)

 

혹은 만약 무전기가 있으신 분은 위에서 알려드렸던 자격번호로 아마추어 무선국 개설 허가 신청을 미리하면 좋습니다.

실물 자격증 발급 전에 무전기만 있다면 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개국이 가능해집니다.

 

이번 글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은 시험에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글에선 무선국 개설 허가 신청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