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 무선

[아마추어 무선 입문 #0] - 아마추어 무선이란?

헬로시바 2024. 9. 7. 20:22

오늘은 아마추어 무선을 어떻게 시작해야 되는지에 관한 도움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취미를 처음 접하면서 관련 정보를 얻는 데 많은 어려움도 있었고, 마이너한 취미이다보니 혼자서 알아가는 데 힘든 점이 많았습니다.

이 블로그를 연재하면서 새로이 입문하시는 분들이 쉽게 접할 수 있게끔 글을 적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일단 아마추어 무선이 무엇인지 아주 짧게 정의하겠습니다.

 

아마추어 무선 베이스 장비

 

아마추어 무선은 말 그대로 무전하는 겁니다. 무선 통신이죠.

외국에선 Amateur Radio, Ham Radio 라고 합니다. 줄여서 HAM 이라고 하죠.

최근 유튜브나 인스타에서 뜨는 모스 부호로 통신하는 CW통신이나 엄청 무섭게 생긴 큰 무전기를 들고 무전하는 게 거의 아마추어 무선입니다.

무전기로 국내 각 국이나 세계 각 무선국과 교신하는 거죠. 전화나 카톡과는 많이 다릅니다. 인터넷이 필요없어요!

오로지 전기와 무전기, 안테나만 있다면 어디든 교신이 가능합니다!

 


아마추어 무선의 과거


아마추어 무선은 스마트폰이 있기 전인 90년대에는 정말 활발한 취미였습니다.

대학교 동아리엔 HAM 동아리 없는 곳이 없었고 아마추어 무선이 주제인 영화도 있었습니다.

영화 '동감 (2000)'

전기와 무전기, 안테나만 있다면 모르는 누군가와 대화, 즉 교신을 할 수 있었으니까요. 

이런 아마추어 무선은 피쳐폰, 스마트폰의 발달로 점점 쇠퇴에 맞아들고 결국 마이너한 취미가 되어버렸습니다.

공중전화, 집전화로 전화하던 시대가 아닌 지금은 전화기를 들고다니는 시대인데 무전은 사치에 불과하죠.

 

현재는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아직도 어느정도의 교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SNS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은 덕에

아마추어 무선 취미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보에 비약함이나 입문 장벽이 높다는 이유로 포기하거나 입문을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많아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서론이 길었으니 이제부터 무선 입문 방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아마추어 무선을 하려면?


아마추어 무선은 어릴 때 보던 장난감 무전기나 생활무전기(CB) 같이 아무렇게 할 수 있는 무전은 아닙니다.

자격증이 필요합니다. (무전을 하는데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포기포기!!)

 

왜 자격증까지 필요하냐, 무전기가 무슨 자격증이 필요하냐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전파는 모두가 나누어 쓰고 사용 용도에 따라 법적으로 분배가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항공에 관한 주파수 대역이 있고 선박이나 위성 TV 혹은 우리가 일상에서 듣는 FM 라디오 등 전파 사용의 관한 규칙이 정해져 있습니다. 또한 무전기를 다루는 방법이나 통신예절 등에 관한 지식을 알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을 보고 자격증을 주게 되는겁니다.

 

이렇게 말로 해서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정말정말 쉬우니 배우려는 의지와 끈기가 필요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일단 자격증 설명에 앞서서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고 들어가겠습니다.

주파수별 대역.

어릴 때 과학시간에 보셨을 만한 사진입니다. 위 사진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이 중 아마추어 무선은 HF(단파), VHF(초단파), UHF(극초단파) 대역에서 교신합니다.

 

HF(단파)는 지상 100km ~ 400km 상공 전리층에 반사되어 원거리까지 도달이 가능한 전파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성질 덕분에 적은 출력으로도 외국과의 교신이 가능합니다.  안테나를 크게 세우면 저 멀리 유럽과도 교신이 됩니다. 인터넷도 없이 유럽과의 교신은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 단파대에선 주로 CW와 보이스 통신, 데이터 등이 이루어 집니다.

 

다음은 VHF(초단파) 입니다. VHF의 경우 전리층을 뚫고 나가는 성질 때문에 HF처럼 원거리 통신이 불가능합니다. 

이런 성질로 눈에 보이는 가시거리보다 조금 더 멀리 나갈 수 있습니다. 지상파라고 불리죠.

FM 라디오나 TV, 항공통신 등에 사용되며 주로 보이스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CW 통신도 가능은 하지만 통신 도달 거리가 짧아 이 구간에선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UHF(극초단파)는 도달거리가 가시거리에 한정됩니다. 레이더나 TV 위성 안테나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아마추어 무선에선 중계기를 사용한 보이스 교신이 주로 이용됩니다. (VHF에서도 중계기 교신이 활발함.)


주파수 대역을 알려드렸으니 이제 자격증의 종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간단한 표로 제작해봤습니다. 보시는 순간 뭔가 복잡하실텐데요.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자격 종류 검정 과목 주파수 대역 동급 자격 출력
아마추어무선기사 1급 전파법규
통신보안
전파공학
무선통신술
영어
ALL 전파전자통신기사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1kW (1000W) 이하
아마추어무선기사 2급 ALL 전파전자통신기능사 200W 이하
아마추어무선기사 3급(전신)
전파법규
통신보안
무선설비취급방법
무선통신술
21MHz 이상
8MHz 이하
X 100W 이하
아마추어무선기사 3급(전화) 전파법규
통신보안
무선설비취급방법
21MHz 이상
8MHz 이하
모르스 통신은 제외.
육상무선통신사
항공무선통신사
아마추어무선기사 4급 강습회 30MHz 이상 X 10W 이하

 


4급

- 시험을 보지 않음. (연맹에서 주관하는 4급 강습회를 들으면 자격증이 취득됨)

- VHF, UHF 대역에서만 운용가능.

- 출력은 10W 이하로만 가능. (핸디 운용 가능)

주의사항 : 4급 제외한 다른 시험에 응시했다가 떨어진 경우 강습회 수강이 불가능함.

 

3급 (전화)

- 시험을 보거나, 강습회를 듣고 면제 과목을 받을 수 있음. (전파법 제외)

- 시험은 총 3과목으로 인터넷에 기출이 많음.

- 강습회를 들을 경우 전파법규만 시험 보면 됨.

- VHF, UHF 대역에서 운용가능.

- 출력은 100W 이하로만 가능. (모빌이나 베이스 운용 가능)

 

3급 (전신)

- 시험을 봐야함. (3급 전화와 같으나 무선통신술만 추가됨)

- 강습회로 면제가 불가능함. (강습회-> 3급 전화 취득 후 다시 시험 예약-> 3급 전신 취득)

- HF, VHF, UHF 대역에서 운용가능. (단파 대역은 21MHz 이상, 8MHz 이하만 가능)

- 출력은 100W 이하로만 가능. (모빌이나 베이스 운용 가능)

 

2급

- 시험을 봐야함. (3급 전신 2년 이상 운용 무선통신술, 통신보안 면제)

- HF, VHF, UHF 대역에서 운용가능. (황금 주파수인 14MHz, 18MHz 를 포함한 다른 주파수 제한이 없음)

- 출력은 200W 이하로만 가능. (베이스 운용 가능)

 

1급

- 시험을 봐야함. (무선설비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무선설비기능사 자격이 있다면 전파공학 과목이 면제,

  전파전자통신기능사 자격이 있다면 전파공학, 통신보안 두 과목이 면제됨.

  제2급 자격으로 무선국을 3년 이상 계속 운용시 영어, 무선통신술, 통신보안 면제됨.)

- HF, VHF, UHF 대역에서 운용가능. (All)

- 출력은 1kW (1000W) 이하로 운용 가능.


이 정도로 정리됩니다. 쓰다보니 엄청 길어졌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입문자의 한해서 3급 전화나 전신이 가장 베스트라고 생각됩니다. 처음 시작하다보니 자격증 취득 후 교신을 어떻게 하는지 수신도 해보기 좋고 100W 제한이라 모빌 장비나 베이스 장비도 사용 가능하며, 전신의 경우 단파대역이 풀리니 CW교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아마 입문하시는 분들은 3급 전화이나 전신 취득 예정인 분들이 많을겁니다.

 

하지만 무선 관련 정보를 찾아보니 어려운 용어 등으로 강습회를 들으러 가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혼자 시작하기엔 강습회도 충분한 도움이 됩니다. 강습회를 들으려 내시는 비용엔 연맹 1년 회비가 포함되어 있어 무선을 하시면서 교신 후에 QSL 카드를 주고 받거나 소식 등을 접하는데 연맹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맹이 필수는 아님.)

 

하지만 비용적인 면에 있어서 혹은 시간적으로(16시간) 부담되시는 분들이 많아 인터넷에 있는 기출을 활용해 일명 기출 뺑뺑이(?)를 돌리시거나 동급 자격인 육무통, 항무통을 취득하려는 분도 많습니다. (육,항무통은 국가기술자격으로 분류됨. 아마추어무선기사는 국가기술자격이 아님.)

남성의 경우 군입대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걸로 압니다. (아마추어도 가능한 걸로 알고 있음. 3급 이상)

 

개인적인 추천으로는 강습회보단 아즐사, 아마추어무선 갤러리 등 여러 커뮤니티에

질문하고 스스로 배워가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하시다가 모르겠으면 강습회 듣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아마추어 무선과 주파수 대역, 자격증의 종류를 설명드렸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자격증 취득에 관한 방법과 팁, 취득 후 해야할 일 등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